• ▲ ⓒ전북지방환경청 전경. 김성수기자
    ▲ ⓒ전북지방환경청 전경. 김성수기자
    전북지방환경청은 중소 규모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화학사고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했다.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외국인근로자 국적 언어(베트남·몽골 등 11개)로 화학물질 취급 안전수칙과 사고 시 대처요령 등 교육자료를 소책자와 포스터로 제작 배포하고 개인보호장구 착용 실습도 병행했다.

    특히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일 우려가 있는 외국인근로자의 사고 대비 역량과 화학안전 인식을 높이도록 했다.

    또한 사고 시 정전 등으로 동선 확인이 어려운 사업장 내부 대피로에 이동 방향 표지(형광 성분)를 설치하고, 대피 장소(사업장 내·외부)와 주요 취급물질정보 및 인근 비상방재함 위치도가 담긴 QR코드를 각 사업장에 맞춰 제작해 부착을 지원했다.

    이번 지원사업은 화학사고 발생이 많아 지역사회의 우려가 큰 군산지역 산업단지에서 위험 공정을 운영하며 외국인근로자를 다수 고용한 1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했다. 

    하반기부터는 전북지역 다른 산업단지로도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전북지방환경청은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대응을 위해 인근 사업장에서 공동 활용 가능한 비상방재장비함(안전장구·방재물품 등 비치)을 지난해 연말 군산지역 산업단지에 설치(화학물질안전원·군산시 4곳, 전북지방환경청 1곳)해 운영 중이다.

    전북지방환경청은 올해 전북 지역 내 다른 산업단지에도 추가 설치해 화학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