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추진상황 점검
  • ▲ 광양만권 철강산업 위기대응협의체 회의 ⓒ 전라남도 제공
    ▲ 광양만권 철강산업 위기대응협의체 회의 ⓒ 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가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본격 가동하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대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남도는 14일 광양 지식산업센터에서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제2차 회의를 열고, 최근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과 정부 지정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4월 협의체 발족 이후 처음 열린 실무 중심 회의로, 전남도와 광양시, 순천시, 산업계 및 유관기관 등 약 20여 명이 참석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 산업이지만, 최근 미국의 고율 관세, 글로벌 수요 둔화, 탈탄소 전환 가속화, 중국산 저가 제품 확산 등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전남도는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며, 지정 시 연구개발(R&D), 고용, 판로, 투자 등 다각적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도는 2025년 제1회 추경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자체 추진한다. 이 사업은 광양만권 중소·중견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공정 개선, 시제품 제작, 맞춤형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전남도는 탄소감축 기술 개발, 디지털전환 실증센터 구축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 기반을 강화하고 있으며, 풍력 하부구조물과 액화수소 저장·운송용 제품 등 신산업 대응도 병행 추진 중이다.

    전남도는 이와 함께 탄소국경세, 통상관세 등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 건의사항을 정부에 지속 전달하고 있으며, 철강산업 등 국가기간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차기 정부 공약 과제로 반영할 계획이다.

    소영호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이번 회의는 전남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민관 협력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정부와 국회에 핵심 과제를 적극 건의하고, 지역 산업의 재도약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