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구 등 고속도로 2개 노선 198km에 12조3000억 서해안선 등 국가철도망 4개 노선 410km에 9조7000억
  • ▲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김종성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김종성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인프라 구축사업이 새 정부 국정과제와 맞물리면서 본격적인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

    전북도는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발표한 '교통혁신 인프라 확충(국토부)' 국정과제에 발맞춰 고속도로·철도망·국도·국지도 건설 등 도내 주요 SOC 사업의 국가계획 반영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이번 국정과제 발표를 계기로 인접 광역권과 연계 교통망을 확충해 전북이 사통팔달 교통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국정과제와 연계해 전북도가 추진하는 주요 핵심 건의사업으로는 전주~대구고속도로, 완주~세종고속도로 등 6개 사업이다.

    전주~대구고속도로는 전주에서 무주, 성주를 거쳐 대구로 이어지는 국가 간선도로망 동서 3축이다. 이 노선은 오랜 기간 단절됐던 영·호남 간 교통망을 직결함으로써 지역 간 교류 활성화와 물류 효율성 제고는 물론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완주~세종고속도로는 수도권과 세종시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해 전북의 성장 잠재력을 확대할 핵심 인프라로 주목된다.

    새만금~목포 서해안선 철도는 서해안권 물류와 관광의 새로운 동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호남 내륙선을 활용한 전주~김천 철도는 내륙 축의 신규 교통망을 형성해 전북과 경북을 잇는 전략적 기반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인입선 철도는 대규모 물류 및 여객 수송을 지원하고, 식품·첨단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전라선 고속화사업은 노후 선로 개량과 선형 개선을 통해 운행 효율성과 속도를 향상시키며, 예비타당성조사의 신속한 통과를 위해 전남도 및 해당 시·군과 공동 대응에 나선다.

    특히, 전북도는 지난 4월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라 전주시를 중심으로 군산·익산·김제·완주가 포함된 전주권이 대도시권에 새롭게 편입된 만큼 광역교통망 확충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