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중심 정책 구현, 60대 이상 생활 기반 보이스피싱 예방 시책 설계
  • ▲ 광주경찰청은 9월 1일(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공공서비스디자인 성과공유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광주경찰청 제공
    ▲ 광주경찰청은 9월 1일(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공공서비스디자인 성과공유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광주경찰청 제공
    광주경찰청(직무대리 김영근)은 9월 1일(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공공서비스디자인 성과공유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은 국민 중심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정책 과정 전반에 정책 공급자인 공무원, 정책수요자인 국민, 서비스디자이너가 함께 참여해 정책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활동으로 행정안전부가 주관해 올해로 12년차를 맞은 제도다.

    광주경찰청은 이번 대회에서 “모은 건 평생, 잃는 건 한 순간”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기관에서 보이스피싱 예방 기술과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왜 범죄는 줄지 않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국민 수요자 입장에서 보이스피싱 문제를 재정의했다.

    보이스피싱은 모든 연령을 위협하지만, 특히 안정된 자산과 디지털·심리적 취약성을 동시에 가진 60대 이상에게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실제로 올해 1~5월 광주지역 1억원 이상 고액 피해의 68.4%가 60대 이상에서 발생했다.

    보이스피싱 수법이 진화하면서 AI 음성 탐지, 악성 앱 차단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다. 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2만5천건의 보이스피싱 통화 데이터를 통신사에 제공해 서비스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이 있어도 국민이 쓰지 못하면 현장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광주경찰청은 이에 주목해 “기술 제공”에서 벗어나 “사용 환경” 중심의 예방 설계를 제시했다.

    우선 보이스피싱이 휴대폰에서 시작되는 범죄라는 점에 착안해, 가장 먼저 통신사와의 협력을 핵심 출발점으로 삼았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60대 이상이 매장을 방문하면, 직원이 보안 관련 앱을 직접 대신 설치해주어 안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기술을 몰라도, 사용하지 못해도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 대표 사례로 평가받았다.

    이를 위해, 광주경찰청은 LGU+ 본사와 협업, 9~10월 중 광주지역 LGU+ 64개 매장을 보이스피싱 안심센터로 지정하고 시범실시 할 계획이다.

    통신사에 이어, 은행은 피해자를 지켜낼 수 있는 마지막 방어선으로 보고, 대응 방안을 설계했다. 은행 창구 직원이 고액 인출 등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음성 전화 대신 112 ‘문자’ 신고를 하도록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확인 과정을 줄이고, 골든타임 내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출동상황이 은행에 실시간 문자 피드백되어 현장 대응력을 한층 높였다. 이를 위해, 광주은행과 협업하였고 향후 타 금융사도 확대할 계획이다.

    광주경찰청은 통신사와 은행을 통한 기술적 안전망에 더해, 요양보호사와 협력을 통해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했다. 고령층과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요양보호사를 예방 교육과 정보 전달 핵심 축으로 삼아, 돌보는 어르신 뿐 아니라 요양보호사 자신도 함께 지키는 이중의 안전망을 마련했고, 그 외에도 버스 ·택시 광고 등 60대 이상 필수 생활 접점에 예방 메시지를 확산해 일상 곳곳에서 보이스피싱을 경계할 수 있도록 했다.

    광주경찰청장(직무대리 김영근)은 “이번 수상은 국민 중심 정책 구현을 통해 가장 취약한 60대 이상을 지켜내는 환경 설계가 인정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통신사·금융기관·지역사회와 협력해 국민의 평생의 땀과 노력이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도록, 전국적으로 예방 환경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