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전주 하계패럴림픽 개최 계획 수립 본격화서울·IOC와 적극적 소통 행보
-
- ▲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는 패럴림픽 개최 계획 수립에도 본격 착수했다.전북도는 지난 3월28일 ‘2036 전주 하계패럴림픽 개최 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하며, 패럴림픽이 단순한 부속 행사가 아닌 독립된 국제 스포츠 축제로서 위상을 갖출 수 있도록 준비에 나섰다.하계 패럴림픽 계획 수립 방향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기는 포용 올림픽 실현을 목표로 유니버설 디자인(모두를 위한 설계) 적용, 무장애환경 구축, 대회 이후 지속 가능한 레거시 창출 등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전북도는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하나의 유기적 체계로 통합 운영해 효율성과 상징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이와 관련, 지난 3월27일 서울특별시와 면담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전북도는 ‘88 서울올림픽’의 유산을 활용해 올림픽 개최 경험을 보유한 국가라는 점을 IOC에 강조하고, 개최 비용은 줄여 유치 가능성과 대회 완성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이날 회의에 참석한 김태균 서울 행정1부시장은 “경기장 시설 사용을 비롯해 향후 전북이 요청하는 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며 전북과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가겠다는 의견을 밝혔다.최병관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2036 하계올림픽은 대한민국 전체가 함께 가야 할 도전인 만큼, 서울시와 협력은 대한민국 전체의 역량을 모으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며 “경쟁을 넘어 협력 파트너로서 함께할 수 있어 더욱 의미 있다”고 밝혔다.한편 김관영 전북지사는 오는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를 방문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공식 면담하고 전북의 올림픽 유치 비전과 전략을 설명할 예정이다.이번 면담은 전북이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된 이후 국제사회에 유치 의지를 공식 표명하는 첫 자리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과 동행한다.김 도지사는 IOC의 핵심 가치인 지속 가능성, 유산(Legacy), 사회적 연대가 반영된 전북의 유치 전략을 강조하며 기존 인프라 활용, 지역 간 협력 모델, RE100 기반 탄소중립 대회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또한 전주의 문화적 매력과 전북이 보유한 K-컬처 경쟁력도 소개하고, 올림픽 이후 유산의 지속적 활용과 관리를 위한 구체적 계획도 함께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