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전주시 외부 교통개선 대책 합의…사업 재착수정동영, 8일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개최106만㎡ 부지에 약 7000세대 조성 … 2027년 보상, 2034년 준공 목표정동영“전주역세권, 전주시 미래 100년 책임질 성장축 … 중재 통해 사업 착수 환영”
-
- ▲ ⓒ정동영 의원실 제공, 김종성 기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역세권 개발사업이 정동영 국회의원의 결단과 협상 및 중재로 재추진된다. 정 의원은 지난 8일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전주시와 윤동욱 전주시 부시장, 송영환 LH 전북본부장, 장재마을 주민 및 전주시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이번 설명회는 전주역세권 인근에 조성될 주거단지 사업의 추진 일정과 교통대책을 주민들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주역 뒤편 역세권은 민간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지구지정을 완료한 곳이었으나 2020년 이후 주택공급정책 변화로 사업이 중단됐다.이번 설명회는 임대주택 공급 등을 담당할 LH와 전주시가 주민들께 향후 추진 일정을 공유했다. LH는 사업계획을 내부의사결정을 거쳐 올해 연말까지 국토교통부에 신청할 예정이다. 지구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LH는 2027년부터 보상 등 본격적으로 사업 절차를 추진한다.전주시도 외부 교통개선 대책을 통해 △초포다리로 확정 △초포다리로 확장(1.8km, 2→4차로) △전진로 확장(0.6km, 4→6차로) △동부대로 진입로 확장(2개소, 총 0.4km, 2→4차로)을 LH 전액부담으로 사업계획에 반영했고 △동부대로 지하차도 신설에 대한 LH의 분담 비율도 상향 조정했다.이번 사업이 추진된다면 전주역세권 인근 우아동, 호성동 인근 약 106만㎡ 부지에 임대주택을 포함해 약 7000여 세대 규모의 주거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정 의원은 “전주역세권 개발이 멈춘 원인은 외부교통개선 대책을 두고 LH와 전주시 간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국토부와 LH, 전주시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중재한 끝에, 2025년 1월 최종 합의가 이뤄져 사업이 재착수됐다”고 설명했다.정 의원은 “전주역세권 사업은 전주시의 미래 10년, 100년을 결정할 중요한 성장축이다”라며 “결국 전주 발전과 전주시민의 공익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전주시와 국토부, LH가 다시 손을 맞잡은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