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천·여수 등 전남지역 대다수 소나무가 재선충병(사진)으로 말라 죽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는 오히려 관련 예산을 반납해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전남도와 순천시 등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규모는 2021년 2만 그루에서 지난해 4만 4000 그루로 2배 이상 늘었다는 것.

    올해는 더 급증해 8만 6000여 그루가 피해를 입었고, 감염 의심 나무도 16만 그루에 달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염 나무의 90% 이상은 전남 동부권에 몰려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방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데도 이를 책임지는 순천 등 일부 지자체는 오히려 관련 예산을 반납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올 초 산림청이 지원한 재해 대책비 30억원을 순천시는 절반만 받았다.

    이에 전남도 환경산림국 관계는 "(4월 17일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에서 순천 같은 경우는 30억을 배정했는데, 15억 원을 못 쓰겠다"고 전했다.

    이를 다시 여수시에 지원하려 했는데, 여수시도 거부했다.

    이 뿐만 아니라 앞서 여수시 자체로 20억을 또 별도로 국비 아닌 20억을 별도로 심각성을 알고, 편성해 놨는데, 그 돈조차도 감액을 했다는 것이다.

    이를 방증하듯, 일부 지자체들은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재해 대책비는 국비와 도·시비가 각 절반씩 투입되는 매칭 사업이다.

    하지만 일부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교부세 감소로 인한 재정난 때문에 시비 확보가 어렵기 때문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논란속에 사계절 내내 푸르러야 할 소나무가 단풍이 물든 것처럼 갈색으로 변해 말라 죽어가고 있다.

    야산뿐만 아니라 도로 옆 나무들까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렸는데 방제는 손도 못 쓰고 있는 셈이다.

    방제 작업이 재선충병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피해는 날로 커지고 있는데, 일부 지자체는 국가로부터 받은 방제 예산을 반납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는 시민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