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국가산단이 대한민국 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전환점이 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할 때입니다."
한문선(사진) 여수상공회의소 회장은 18일 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는 단순한 산업 구조의 문제가 아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한 대응력 부족과 정부 정책지원과 혁신의 지연에서 비롯된 결과다"고 꼬집었다.
때문에 한 회장은 "정부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를 비롯 석유수입부과금 면제, 나프타 관세 면제 등 정부정책 지원이 절실한 때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지낞새 10월 kwh당 182.7원으로 10.2%(16.9원)를 인상했는데 이는 여수산단 주요 10개사가 연간 추가 부담하는 금액만 하더라도 무려 1700억원에 달했다"고 전했다.
따라서 "산업용 전기단가의 인상분을 안정화될 때까지 철회해 달라"고 한 회장은 요구했다.
이어 생산원료용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석유수입부과금의 면제와 석유화학의 핵심기초 원료인 나프타의 관세 면제 기한을 올해 연말까지 추가 연장을 건의 하기도 했다.
더욱이 그는 "여수산단이 안정화 시기까지 무기한 연장하는 등 탄력적인 정부의 정책 운용이 그 어느때 보다 필요한 시기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것은 결국 정부의 결단력과 혁신에 대한 투자다고 했다.
한 회장은 "특히 친환경, 디지털, 바이오 등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여수국가산단은 다시 한번 국가 경제의 중심지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말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정부 지원책을 발표하고 올해 상반기까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요건을 현실화한 후 지역 경제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지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