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제철소 등 광양산단과 여수산단 주변의 환경오염 실태와 주민건강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다.
특히 광양제철소와 같은 '굴뚝 자동 측정기기(TMS)'를 설치한 대형 사업장을 중심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가 한국환경공단을 통해 공개한 지난해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이 전국에서 광양제철소가 가장 많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후 더욱 심하다.
5년째 대기오염물질 전국 최대 배출 사업장이라는 성적표도 한몫한 셈이다.
TMS가 설치된 전국 943개 사업장 가운데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가 전국 1, 2위를 기록한 것도 방증 되고 있다.
측정 대상 대기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황산화물·먼지·불화수소·암모니아·일산화탄소·염화수소 등 7종이다.
광양제철소는 지난해 약 2만8267t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했다.
이는 전년 대비 7443t 늘어난 수치다.
특히 광양제철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상승하자 전남도의 배출량 역시 2016년 TMS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이 9년 만에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전남도의 총배출량 4만2852만t 중 광양제철소의 배출량이 약 66%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광양제철소는 환경부가 발표한 TMS 공개 배출량은 전년도(2022) 대비 TMS 설치 운영 확대에 따른 증가이며 실제 당사의 굴뚝 1개당 배출 총량은 2022년 대비 2023년에 약 10% 감소했다고 반박했다.
게다가 배출 총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 6년간 환경투자에 9조2000억원을 투입했다. 오는 2026년까지 원료 야드 순차적 밀폐화 등 환경 설비에도 지속적으로 추가 투자할 예정이다고 했다.
하지만 여전히 석탄 등 화석연료에 의존해 철을 생산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기 위한 고로 개수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설득력이 부족하다.
여수산단도 지난 2019년 4월 발생한 여수국가산단 대기오염물질 배출조작 사건으로 불신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주종섭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여수6)은 최근 여수산단 주변의 주민건강 역학조사와 위해성 평가 등 산단주변 환경오염 실태조사를 1차년도 반경 5km, 2차년도 반경 10km 지역까지 시행키로 합의하고 올해 착수했다는 것.
그러나 일부 지역이 배제되고 주민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업체에 면죄부를 주는 것이 아니냐는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양제철 등 광양산단과 여수산단 환경감시 활동을 위한 환경감시센터 설치·운영과 더불어 환경 사고에 대한 해당 지자체의 관리 권한을 강화해야 이 같은 불신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