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및 인구정책 추진 위해 인구활력추진단 본격 가동정읍 등 도내 11개 시·군 참여해 기금사업 신속 집행으로 지역 활력 제고
  • ▲ 전북자치도는 2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및 인구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11개 시·군이 참여한 가운데 올해 첫 인구활력추진단 소통회의를 개최했다.ⓒ전북자치도 사진 제공.
    ▲ 전북자치도는 2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및 인구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11개 시·군이 참여한 가운데 올해 첫 인구활력추진단 소통회의를 개최했다.ⓒ전북자치도 사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지방소멸 및 인구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시·군과 머리를 맞댔다.

    전북는 2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올해 첫 인구활력추진단 소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소통회의를 가진 인구활력추진단은 지난해 8월 제정된 ‘도 인구활력추진단 설치 및 구성·운영 조례’에 따라 설치된 협의체다.

    추진단은 전북자치도와 도내 인구감소(관심)지역 11개 시·군이 상호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인구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지난해 첫 출범 후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전북도 14개 시·군 가운데 인구감소지역은 정읍을 비롯해 남원·김제시, 무주·진안·임실·장수·순창·고창·부안군과 인구관심지역인 익산 등이다.

    이번 회의에는는 최병관 전북도 행정부지사 주재로 도의회, 지방행정연구원 및 전북연구원, 인구감소(관심)지역 11개 시·군 실·과장 등 50여 명이 참석해 인구감소 위기에 공동 대응 방안 및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전략 등을 심도 있게 논의됐다.

    이 가운데 행정안전부의 시·군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체계가 4단계(S·A·B·C)에서 2단계(우수·양호)로 개편되고 기금사업 범위가 유연하게 확대되는 등 제도 개편에 대응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컨설팅단'으로 활동 중인 전문가를 초청해 효율적인 기금 활용방안과 전략적인 투자계획 수립을 통한 평가 대응에 대한 강의가 진행됐다.

    전북연구원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각 시·군에서 활동 중인 청년활동가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시·군의 지역자원과 연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전북도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수립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의 틀 안에서 현재 도와 시·군이 지방소멸대응기금 등의 재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행정안전부의 평가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 중 대부분이 행정절차 완료 후 올해 공사가 시작되면서 집행률 향상과 실질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기금의 효과를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집행 속도를 제고해 달라고 시·군에 적극 협조 요청했다.

    최병관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지역의 존폐가 걸린 중대 사안”이라며 “인구감소 및 지역소멸 대응을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집행률을 높여 민생과 지역경제 활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군과 함께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수 전북도의회의원은 “지난해 인구활력추진단 설치 조례 발의 후, 전북의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도와 시·군이 소통하고 긴밀하게 협조가 이뤄지는 모습을 보니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전북자치도의 인구정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