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E 복합단지 조성사업 부지 확보 위해 종합경기장 이달부터 철거이달 중 업체 선정해 부속 건축물 우선 철거… 주경기장은 11월부터MICE 복합단지 조성 속도감 있는 행정 절차로 개발사업 탄력 기대 
  • ▲ 전주종합경기장 철거된 후 들어설 예정인 MICE복합단지 투시도.ⓒ
    ▲ 전주종합경기장 철거된 후 들어설 예정인 MICE복합단지 투시도.ⓒ
    전주종합경기장 철거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어서 대규모 전시컨벤션 중심의 MICE 복합단지 개발에도 속도가 붙게 됐다.

    전주시는 14일 “지난해 야구장을 철거한 데 이어 이달부터 종합경기장 부지 MICE 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전주종합경기장 철거 절차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주시민의 오랜 염원이자 민선 8기 우범기 전주시장의 대표 공약사업인 전주종합경기장 부지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전주종합경기장 철거공사는 주경기장(3만5594㎡)과 전주푸드(1057㎡), 수위실(100㎡) 등  연면적 3만6751㎡의 건물 철거 및 폐기물 처리를 포함해 약 11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전주시는 이를 위해 지난 4월까지 건축위원회(해체계획) 심의와 기술자문위원회·계약심의위원회 심의 등 행정 절차를 모두 완료했으며, 이달 중 업체가 선정되는 대로 본격적으로 철거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전주시는 업체가 선정되면 우선 전주푸드와 수위실 등 부속 건물부터 철거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8월까지 부속 건물이 철거되면 공사를 일시 중지하고 주요 행사 개최 후 오는 11월 주경기장 철거를 위한 공사에 들어가 내년 6월까지 모든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특히 철거 공사가 중지되는 기간 주경기장은 전주시 대표 축제인 얼티밋뮤직페스티벌·가맥축제(8월)·전주페스타(10월) 등 지역 문화축제와 시민 행사를 위한 장소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1981년 현재의 모습으로 증축된 전주종합경기장의 내부 천장재와 칸막이 등이 발암물질인 석면으로 시공돼 있어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우선 석면 철거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작업은 오는 6월까지 완료될 예정으로, 공사 기간 중 출입이 전면 차단된다.

    전주시는 종합경기장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본격적으로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에 착수하기 위해 관련 행정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주시는 지난 1월 전시시설 건립계획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 협의를 완료하고,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조사(한국지방행정연구원) 약정 체결로 타당성조사에 돌입했으며, 중앙투자심사도 신속하게 완료할 계획이다.

    전주시는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도시개발사업구역 지정 및 실시설계용역과 전시컨벤션센터 건축기획용역을 병행 추진 중이다.

    오는 7월 건축설계를 위한 공모를 실시하고 2025년 하반기 본격적인 개발공사에 착수해  2028년 완공할 방침이다.

    김문기 전주시 광역도시기반조성실장은 “종합경기장 부지 개발은 전주시민의 오랜 염원이 담긴 숙원사업이자 전주가 강한 경제도시로 나아가기 초석이 될 것”이라며 “전주경제의 성장과 대변혁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인 만큼 안전한 종합경기장 철거와 향후 이어질 개발사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