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박사‧문학평론가‧시인 양영식.ⓒ이인호 기자
    ▲ 문학박사‧문학평론가‧시인 양영식.ⓒ이인호 기자
    인간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보통 500만 마디의 말을 한다지만 글을 쓰는 데에는 자유의사인 자발성에서 이루어진다. 인간의 능력과 특성인 말(로고스)과 글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인간성(humanity)의 본질이기에 바른 의사소통을 하고자 할 땐 최소한의 오만에서 벗어나 겸허함을 지어야 할 것이리다.

    왜냐면 진솔한 삶의 진실을 품은 말과 글은 생각보다 표리(表裏)가 잘 드러냄에서 왜곡 뒤에 숨은 의미와 여백을 찾는 불안은 주의해서 다루지 않으면 자신에게 큰 상흔을 남긴다. 해서 의미 전달 및 반영은 물론 갈등 요소의 조정과 배려에서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귀와 눈에서 나오는 것이기에 꼭 대비해야 하리라.

    헌데 유아독존적인 미디어 전문가 프로 이들은 글과 말을 통해 지배와 배제의 논리에 따라서 잔재주로 대중을 조종하고 복종케 하며 군중을 소외시키면서 얻어 낸 오만의 표상은 때로는 살기마저 느껴질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아니 됨에서이겠다.

    예컨대 표현 없는 삶은 원시에로의 귀환이며 기록 없는 역사는 전설의 메아리라는 점을 충동질하며 현혹과 조종으로 얻은 자신의 명성과 권위에 도취된 전문가 이들에게도 순간적인 속임수로 대중을 압제한 그런 느낌의 망상은 쉽게 물거품이 될 수 있음에 귀 기울여야 함에서이겠다.

    혹여나 얄팍한 지적 유희의 난무로 숭배와 경외심을 강요하거나 ‘펜은 총보다 강하다’ 또는 ‘잡범 같은 전직 대통령’ 등으로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는 등 자기기만적인 오불관언의 태도엔 일반 대중을 분노케 할 뿐 일어날 눈의 팽창과 수축만이 되풀이될 터에서 강직과 청렴함은 더 요구되는 것일 터에서이다.

    하지만 이에 반한다면 사건의 지평선 너머에 살아 있는 셈이 아닐까 함에서 불교의 보시(布施) 중 언시(言施)에서처럼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을 하지 않으며 정선된 말을 아무리 한다.’ 할지라 해도 본질적인 ‘악’의 상투성으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은 오해와 곡해로 넘쳐날 뿐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사실 진미진선(盡美盡善)의 본 상태로 돌아감이 중요하리란 책임의 중요성에서 <말과 글>에 대해 <알랭 드 보통>은 단지 9%의 ‘진(眞)’을 지렛대 삼아 91%의 ‘위(僞)’를 꿰맞추어 정신세계를 호도하는 인간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되는 지식으로선 절대적인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하리라는 상상이 가능할 터에서다.

    이의 의미는 오직 이기적인 자기 주관으로 환상을 좇아 채우기만 할 뿐, 그 후 외의 모든 책임은 남에게 뒤집어씌우고 마는 우리에게 말과 글의 사용에서 스스로가 바른 자의식을 가지고 언제나 건전한 의미와 해답을 찾아내는 사랑의 휴머니티(인간성)를 지닐 수 있도록 항상 변해야 하고 살아 꿈틀거려야 함 또한 중요할 것입니다.

    요는 허구로 넘쳐나는 진실 세계의 미로(迷路) 속에 들떠 내몰리는 존재일 터인 우리에게 원석을 갈고 다듬으면 보석이 되는 것과 같이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글을 갈고 닦아 절제(節制)하노라 하면 보석처럼 빛날 수 있는 상황의 끝에 다다를 수도 있음이 자명함에서입니다.

    한데, ‘무위(無爲)사상’에서 온 지인(至人)에의 길, ‘비움’ 철학이 지미지락(至美至樂)이라고 한다면 마음속에 숨겨진 여백 미(美)의 진실로서의 말과 글을 누가 “더” 행하며 일상 속에서 아름답고 절제된 삶을 향해 살아나갈 ‘인격’에 대한 심판은 오직 <자신과 역사>만이 그 진실을 밝혀낼 수 있음에서일 것입니다.

    다만 AI 시대의 변환점에서 선, 우린 ‘말과 글’에 대하여 진솔한 마음을 가지고 높이 날아 소중한 사람의 품격(공감 능력)을 높이 펼치어 낼 수 있다 하면 아름다운 <말과 글>의 세상은 공감의 가치로서 조화롭게 통합되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훈훈한 인간 본연의 근원으로 귀착하리란 생각들은 확실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