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 31일 전북자치도에서 행사 갖고 의견청취특별자치, 특화발전 등 특별자치도 순항을 위한 5대 전략 소개
  • ▲ 전북특별자치도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와 공동 주관으로 31일 도청에서 ‘지방시대, 전북특별자치도민 의견을 듣다’ 행사를 개최했다.ⓒ전북특별자치도 사진 제공.
    ▲ 전북특별자치도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와 공동 주관으로 31일 도청에서 ‘지방시대, 전북특별자치도민 의견을 듣다’ 행사를 개최했다.ⓒ전북특별자치도 사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와 공동 주관으로 31일 도청에서 ‘지방시대, 전북특별자치도민 의견을 듣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수립된 도 지방시대·초광역권발전 계획의 체계적 이행을 위한 2024년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도민 염원을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중앙·도 지방시대위원, 전문가, 도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지방시대 종합계획(지방시대위원회)과 전북특별자치도 지방시대 계획, 초광역권 발전계획 보고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시대 4대특구 대응 전략’에 대한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지방시대위원회 이정현 부위원장은 지난해 수립된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5대 전략과 위원회 중점 추진과제를 설명한 후 “지방시대 실현에 대한 국민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4대 특구(기회발전특구, 교육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를 비롯한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이행을 위해 중앙과 지방이 합심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원회 중점과제로 ‘4+3 초광역권발전계획’과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생활인구·방문인구·정주여건 확대)의 본격 이행을 제시했다.

    이 부위원장은 이어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추진방안을 확정한 ‘기회발전특구’계획에 대한 보고를 했으며 “특구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방정부뿐만 아니라 전북 기업, 도민의 전폭적인 관심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전북자치도 지방시대·초광역권발전 계획과 2024년 시행계획 수립방향에 대한 민선식 전북자치도 정책기획관의 설명이 있었으며 인구 소멸위기에 놓인 우리 지역의 상황을 반전하기 위한 전북특별자치도 특례 발굴 등 글로벌 생명경제도시 조성 전략을 소개했다.

    심보균 전북특별자치도 지방시대위원장을 좌장으로 4명의 토론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시대 4대 특구 대응 전략’에 대한 토론에서는 전북특별자치도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방시대 4대특구에 대응방안을 모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