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인 무단 출입 즉시 확인 가능
  • ▲ ⓒ학교출입보안시스템 '스쿨패스', 김종성 기자
    ▲ ⓒ학교출입보안시스템 '스쿨패스', 김종성 기자
    전남 소재 바른정보기술은 경북 9개교에 스쿨패스 신원인증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최근 전국에서 초등학생 유괴 미수 사건이 잇따르며 학교 보안 강화가 학부모들의 최우선 요구사항으로 떠올랐다. 법무부 범죄 분석 자료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대상 약취·유인 범죄는 최근 3년간 80%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서울·경기·제주 등지에서 유사 사건이 이어지자 학부모들은 "등하굣길조차 안심할 수 없다"며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학교 보안 시스템 도어락은 도난 방지 수준의 통제에 그쳤고, CCTV 역시 예방이 아닌 사후 확인에 그쳤다. 또한 지난해 일부 교육청이 시범 도입한 온라인 ‘사전 예약 시스템’은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교직원 개인정보(이름·연락처 등)를 등록해야만 하는 구조적 모순과 개인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위험까지 제기됐다.

    이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경상북도교육청은 학교 현장 중심의 실질적 대안으로 ‘전자출입관리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총 27개교 가운데 영일중·상주초·상주중앙초등·하양초·성암초·세화고·비산초·의성초·구미원당초 등 9개교가 ㈜바른정보기술(대표 김상인)의 ‘스쿨패스(School PASS)’를 도입, 시범학교의 절반 가까이가 스쿨패스를 선택했다. 이는 단순한 보안기술이 아닌, 학교 현장의 운영 방식과 보안 현실을 정확히 반영한 시스템이라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다.
  • ▲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대상 약취·유인 범죄 발생 건수(자료: 경찰청/ 2025년 8월), 김종성 기자
    ▲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대상 약취·유인 범죄 발생 건수(자료: 경찰청/ 2025년 8월), 김종성 기자
    스쿨패스는 네이버·카카오·PASS·모바일신분증앱 등 국가·민간의 본인인증 체계와 직접 연동된 국내 유일의 학교 출입보안시스템이다. 방문자가 인증을 완료하면 출입증 라벨이 자동 출력돼 상의에 부착하며, 교직원·학부모·학생 모두가 한눈에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출입 기록은 암호화돼 자동 저장되는 동시에 일정 기간 이후 자동 삭제돼 교육부의 개인정보 보호 규제에 적합하다.

    ㈜바른정보기술은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교직원 개인정보 입력이 필요한 예약 기능을 전면 폐지하고 현장에서 즉시 인증이 가능한 실시간 본인 확인 구조로 시스템을 재정비했다. 

    박창용 바른정보기술 전무는 “학교가 필요한 것은 ‘기록’이 아닌 ‘인증’이며, 보안 시스템의 완성도는 기술보다 현실성에 있다”며 “스쿨패스는 교직원과 학부모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안전환경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학교 현장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경북 상주초 행정실장은 “기존 수기 대장은 정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번거로웠지만, 스쿨패스는 신원 인증과 무단 출입자에 대한 식별이 동시에 이뤄져 교직원의 업무 부담이 줄고 보안 수준이 확실히 높아졌다”고 말했다. 

    한 학부모는 “학교가 외부인 출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니 자녀를 안심하고 보낼 수 있다”고 밝혔다.
  • ▲ ⓒ바른정보기술은 2025년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스쿨패스(SchoolPASS) 부스형 시스템의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김종성 기자
    ▲ ⓒ바른정보기술은 2025년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스쿨패스(SchoolPASS) 부스형 시스템의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김종성 기자
    전문가들 역시 스쿨패스를 “현장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학교 보안 표준”으로 평가한다. 

    한국교육기술포럼 관계자는 “아동 대상 범죄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단순 방문증이나 CCTV 중심의 관리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며 “스쿨패스는 학교의 보안체계를 ‘예방 중심’으로 전환한 유일한 실질적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스쿨패스를 개발한 ㈜바른정보기술은 네이버와 학교 출입증 서비스 공식 계약, KT와 보안인증 라우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5 대한민국 리딩기업대상’ 학교출입보안부문 대상과 ‘2025 K-에듀테크 콘테스트’ 교육환경구축·행정관리 혁신부문 우수상을 수상하며 기술력과 공공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학교 현장의 디지털 보안 수준이 곧 학생의 안전과 직결되는 시대, 스쿨패스는 학교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