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조합의 고금리 대출로 임업인의 연체율이 7,46%로 급등해 여신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북 군산·김제·부안을)이 산림조합중앙회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역 산림조합의 2025년 2분기 현재 연체율은 7.46%에 달한다.
지역 산림조합의 연체율은 2021년 1.50%에서 2022년 1.77%, 2023년 3.41%, 2024년 5.68% 등으로 급등하고 있다. 이는 2025년 기준 지역 농협의 연체율 4.88%와 비교해도 크게 높은 것이다.
이 의원은 "임업인의 낮은 소득 기반, 고금리에 따른 상환부담 증가, 임야 담보 유동화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조합 연체율을 끌어올리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
실제로 임야 담보 경매건수는 2021년 77건에서 2024년 133건으로 1.73배 증가했고, 낙찰가율은 83.4%에서 47.2%로 급락했다. 이는 담보 처분이 되더라도 원금 회수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수치로 나타냈다 .
낙찰 회차 역시 2021년 2.6회에서 2025년 4.1회로 크게 늘어나며 회수 지연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
산림조합은 올 6월 부실채권 매각 전담 자회사를 설립하고, 7월 삼일회계법인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이후 8월에는 48개 조합의 매각희망채권 1677억 원(평가율 56.2%)에 대해 사전 분석을 실시한 가운데, 9월에는 이 중 14개 조합, 164억 원(평가율 85.8%)을 최종 매각 대상으로 확정해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은 "담보로 제공된 임야의 경매 건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낙찰가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전방위적인 부실채권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등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