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의 이정표, 입지 등 최적 조건 갖춰
  • 제2중앙경찰학교 남원 유치를 위한 범정치권 연대가 본격화됐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제2중앙경찰학교의 남원 설립을 지지하는 여야 국회의원들의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기자회견은 경찰청의 제2중앙경찰학교 설립 부지 공모 절차가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여야 국회의원들이 초당적 협력 의지를 밝히고자 마련됐다.

    회견에는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과 조배숙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을 비롯해 전북 및 영·호남 국회의원, 김관영 전북지사, 최경식 남원시장 등 약 20명이 참석했다. 

    민관기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과 임원진도 함께해 일선 현장 경찰관들의 남원 입지 선정 지지 의견을 전달했다.

    참석자들은 "남원의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는 단순한 지역 생존의 문제를 넘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북은 그동안 국가균형발전 정책에서 소외돼 왔으며, 14개 시·군 중 10개 시·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남원시는 인구 8만 명(8월 기준 7만4867명) 선까지 무너져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가 지방소멸 위험의 위기 돌파 기회로 평가받는다.

    제2중앙경찰학교가 남원에 들어서면 연간 5000명의 신임 경찰이 이곳에서 교육받게 된다. 이를 통해 약 300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300여 명의 상주인력 유입으로 인한 인구 증가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남원시는 제2중앙경찰학교 설립을 위한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후보지인 옛가축유전자원시험장은 100% 국·공유지로 토지 매입비가 전혀 들지 않아 정부의 긴축재정기조와 부합한다. 광주~대구, 순천~완주 고속도로와 KTX·SRT 등 교통 인프라도 구축돼 있으며, 2030년 개통 예정인 달빛철도가 완공되면 접근성이 한층 개선될 전망이다.

    경찰청은 지난 5월부터 제2중앙경찰학교 비용·편익 분석용역을 실시했으며, 11~12월에 2차 평가와 부지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연내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12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사업 타당성을 검토한 뒤 2027년 예산 확보, 2028~29년 기본·실시설계 이후 2030년 착공할 예정이다.

    전북도는 후보지 최종 결정 때까지 지역 정치권과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