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읍시 매장유산 유존지역 고도화 작업 착수회, 김종성 기자
전북 정읍시가 도심권 매장 유산 정보를 최신화하는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 고도화 사업’에 나서 보존과 개발의 균형을 강화한다.
이번 사업은 국가유산청 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시와 국가유산청이 함께 수행한다. 총 사업비는 1억 3000만원으로 국비 70%, 도비 9%, 시비 21%가 투입된다. 사업은 내년 4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시는 2006년 작성된 ‘문화유적분포지도’와 이후 학술·발굴조사 성과를 국가유산청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GIS)’에 등재해 관리했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간 도시화와 각종 개발로 지형 여건이 크게 변해 현행화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시는 지난 5월 사업에 착수해 북면, 수성동, 장명동, 내장상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등 도심지역 일부 약 18㎢를 우선 구역으로 정하고 선사시대부터 한국전쟁(1950년) 이전 범위로 정밀지표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매장유산 유존지역 경계를 정확히 설정한다. 이에 유산이 없을 것으로 확인된 구역은 개발 시 추가 조사를 최소화해 행정·민간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유존지역이 포함된 사업은 보존조치를 토대로 사전에 계획을 세워 훼손 가능성을 낮추고 인허가 과정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매장유산의 체계적 보존·관리는 물론, 시민의 토지 이용 불편과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