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체육 활성화 해법으로 제시
-
- ▲ 나광국 전남도의원이 부족한 체육 인프라 해법으로 학교 체육시설의 전면 개방을 제시하며,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의 적극적인 협력을 촉구했다.ⓒ전남도의회 제공
나광국 전라남도의회의원(더불어민주당·무안2)은 부족한 체육 인프라 해법으로 학교 체육시설의 전면 개방을 제시하며,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의 적극적인 협력을 촉구했다.나 의원은 지난 21일 열린 전남도의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전남도민의 생활체육 참여는 늘고 있지만 시설 부족으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학교 체육시설을 개방해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남도와 교육청이 함께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나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조사 및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자료를 인용해 “도내 주민들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를 수용할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특히 나 의원은 최근 수요가 급증한 배드민턴·탁구·배구·수영 등 실내체육 종목의 수용 여건이 열악하다고 언급했다.현재 전남 도내 배드민턴(1만2380명)·탁구(3641명)·배구(4710명) 등 주요 실내 생활체육 동호인은 2만여 명이 넘지만,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생활체육관은 44개에 불과해 전국 8개 도 중 여섯 번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수영 동호인 2449명을 위한 수영장도 25개에 그치는 실정이다.일부 동호회가 부족한 체육관을 대신해 학교 체육시설을 임시로 활용하나 학교 현장에서는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관리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개방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나 의원은 학교 체육시설 유지·보수 비용과 관리 인력 지원, 사고 발생 시 학교장 책임 면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서울·경기·광주 등 다른 지역처럼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 학교시설 개방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나 의원은 지난 7월11일 개정된 생활체육진흥법에 따라 학교장 책임 면제와 지자체 지원 근거가 마련될 예정임을 강조하며, 전남도의 실질적 대응을 요구했다.또한 나 의원은 “전남도가 올해 379억 원의 예산으로 55개 신규 체육시설과 72곳의 노후시설 개·보수를 추진할 계획이지만, 지역 내 유휴 학교 체육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이에 대해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도민의 체육시설 이용 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며,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법 개정에 맞춰 교육청과 협력해 학교 체육시설 개방을 지원하고 생활체육 활성화와 도민 건강 증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