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청 석조 현판)
전북특별자치도가 26일 도청 영상회의실에서 2024년 빅데이터 분석사업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사업은 △푸드테크 산업 △디지털 산업 △가명정보 활용 분야 등 최근 부각 되고 있는 신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총 5개월간 추진됐다.
푸드테크 산업 분석은 △푸드테크 산업구조와 기술 △인구 특성 및 재료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푸드테크 산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술투자와 지역 맞춤전략 확보 및 공급망 구축 등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디지털 산업 분석은 2022년까지의 △도내 디지털 사업체 분석 △시군별 디지털 산업지수 △디지털 전환 기술 추세 등 빅데이터 분석으로 전북 디지털산업 육성전략에 필요한 현황 분석 목적으로 추진돼, 성장 가능 기업에 대한 집중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명정보 활성화 분석은 도내 시군과 공공기관의 데이터 보유 현황과 가명정보를 활용한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2024년 11월에 개소한 가명정보 활용지원센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김재천 전북도 디지털산업과장은 “이번 빅데이터 분석사업은 전북이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특화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과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하는 빅데이터 분석사업은 2017년부터 8년간 都 자체 수요조사에 따라 34개 과제를 수행해 왔으며, 과제에 참여하는 우수부서에는 직무성과평가 가점을 부여하는 등 데이터 기반행정을 장려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