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센터 전남 유치 이후 광주 AI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정준호 의원 “광주를 국가 AI 혁신 중심지로 육성해야“
  • ▲ 공감포럼 호남본부가 주최한 ‘광주 AI 생태계 도약을 위한 긴급 현안 토론회’가 지난 7일(금), 광주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 회의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정준호 국회의원_더불어민주당(광주시 북구 갑) 제공
    ▲ 공감포럼 호남본부가 주최한 ‘광주 AI 생태계 도약을 위한 긴급 현안 토론회’가 지난 7일(금), 광주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 회의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정준호 국회의원_더불어민주당(광주시 북구 갑) 제공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 갑)이 좌장을 맡고, 공감포럼 호남본부가 주최한 ‘광주 AI 생태계 도약을 위한 긴급 현안 토론회’가 지난 7일 광주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 회의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AI 컴퓨팅센터의 전남 유치 이후 광주의 AI 산업 현주소를 진단하고, 지역의 AI 역량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문승현 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오상진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인공지능산업융합단장, 문정욱 네이버클라우드 이사, 김종민 인공지능산학연합회 회장, 정동호 (사)인공지능산학연합회 대표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했으며 정준호 국회의원이 좌장으로서 토론을 이끌었다.

    참석자들은 광주가 보유한 우수한 연구인력과 AI 기반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지속가능하고 견고한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국가 AI 연구소 유치와 정부와의 협력 강화, 영재고 등 교육 인프라 확충을 포함한 연구인력의 정주여건 개선, 기존 데이터센터의 단계적 확충 등 구체적 실행 방안이 제시됐다.

    전국적으로 데이터센터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광주는 정보보안과 안전한 AI 환경을 강점으로 삼아 차별화 전략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도 언급됐다.

    특히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AI 운영과 정책을 주도하고 세계적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AI 리더 인재를 광주에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토론자들은 이미 광주가 AI 기업과 연구기관이 집적되어 있어 준비된 국내 대표 AI 도시임을 강조했다. 이러한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광주 첨단지구를 ‘제2의 판교’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적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정준호 의원은 “광주는 AI 산업의 선도 도시이자 대한민국 디지털 대전환을 이끌 핵심 도시”라며 “컴퓨팅센터 유치 여부에 흔들리지 않고 더 단단한 생태계를 구축해, 광주가 국가 AI 혁신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인재 육성과 인프라 확충, 안전한 AI 산업 환경 조성을 통해 광주의 미래를 탄탄히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