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기폭제 되도록 설계
  • ▲ 보성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 총력전 돌입!_‘「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군민 캠페인’퍼포먼스를 하고 있다.ⓒ보성군 제공
    ▲ 보성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 총력전 돌입!_‘「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군민 캠페인’퍼포먼스를 하고 있다.ⓒ보성군 제공
    보성군(군수 김철우)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 대응하기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보성군은 이번 공모를 지역 농촌정책의 대전환점으로 보고,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공동체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는 모델 구축에 방점을 두고 있다.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어촌지역에 기본소득을 도입해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 공동체 회복을 동시에 도모하는 국가 단위 시범정책이다.

    공모에 선정되면 2026년부터 2년간 해당 지역주민에게 매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며, 전국 약 6개 군이 최종 대상지로 선정될 예정이다.

    이에 보성군은 지난 9월25일 공모대응전략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군수 직속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TF에는 인구정책과·기획예산실·문화관광실·경제교통과·보건소 등 주요 부서가 참여해 지역 여건과 재정 구조를 반영한 전략형 공모계획서를 정교하게 설계하고 있다.

    또한, 공모 선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 군민이 함께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선정 기원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으며, 농업인단체 간담회와 주민 홍보활동 등 공모 취지와 기대효과를 공유하는 소통 창구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보성군은 이번 시범사업이 일회성 재정 지원이 아닌 지역경제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기폭제가 되도록 설계 중이다.

    기본소득 지급과 함께 보성사랑상품권 사용처 확대, 결제 편의 개선 등 소비 촉진 방안도 병행해 ‘받는 지원이 곧 지역 내 소비’로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현재 보성군은 부서별 최종 점검을 마무리 중이며, 공모 선정 이후에는 조례 제정 등 후속 행정 절차도 차질 없이 이어가 ‘실행 가능한 시범 모델’로 완성할 방안이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농어촌기본소득은 생계비 지원이 아닌 농촌 삶의 재설계이자 미래를 위한 투자”라며 “보성군은 이미 다양한 인구·농촌정책으로 기반을 다져온 만큼, 이번 공모를 통해 ‘보성형 농촌복지 모델’의 완성을 향해 힘 있게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 ▲ 보성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 총력전 돌입!_「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전담TF팀 실무 협의회ⓒ보성군 제공
    ▲ 보성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 총력전 돌입!_「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전담TF팀 실무 협의회ⓒ보성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