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 혼란 방지 위해 입장 왜곡 자제 요청”
  • ▲ 무안군청 전경ⓒ무안군 제공
    ▲ 무안군청 전경ⓒ무안군 제공
    무안군이 지난 29일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실 직속 6자 협의체(TF) 참여 의지가 분명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무안군은 이날 배포한 입장문에서 “지난 6월 26일 ‘군 공항 이전 관련 군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무안군은 군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해 대통령실 직속 6자 TF 참여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며 “그럼에도 일부 사회단체와 지자체가 무안군의 참여를 촉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군은 이러한 주장들이 “무안군이 참여 의사가 없는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켜 군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나아가 무안군의 사회적 위상을 실추시킬 우려가 크다”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무안군은 이번 입장문에서 대통령실에 제출한 3가지 핵심 제안을 공개했다.

    첫째는 광주 민간공항의 선(先)이전이다. 무안군은 “2018년 체결된 광주·전남·무안 3자 협약 이행과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광주시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며 “국토부와 광주시의 추진 의지가 있다면 올해 연말까지도 이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군은 이를 통해 무안국제공항 정상화와 서남권 거점공항 도약,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의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둘째는 광주시의 1조원 지원 약속 이행 방안 제시다. 무안군은 “강기정 광주시장이 2023년 군 공항 유치 지역에 1조원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 구체적인 이행책이 나오지 않았다”며 “광주시의 재정 여건을 고려할 때 현실성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대규모 사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군 공항 이전 비용과 10조원 이상으로 추산되는 지원사업비 감당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도 함께 제기했다.

    셋째는 국가 차원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제공이다. 무안군은 “군 공항 이전으로 인한 피해를 넘어설 수준의 보상이 전제돼야만 군민 설득이 가능하다”며 “새 정부의 국정철학인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원칙에 맞는 국가 차원의 획기적인 보상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안군은 "대통령실에 이 같은 3대 제안을 제출하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며 ”대통령실 주관 6자 TF 첫 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앞으로 무안군의 입장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있는 어떠한 의견 표명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