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구례군 주민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을 재추진하고 나섰다.(사진)

    구례 지리산 케이블카 추진위원회는 13일 구례군 산동면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 주차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추진위는 "중앙정부 중심의 경직된 의사결정 구조로는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과 국립공원 보존을 실현할 수 없다"며 "지금이라도 환경부가 시대 변화를 반영해 케이블카 정책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부가 국립공원위원회 내에 설치한 케이블카 정책 논의 전문위원회 구성에 지방자치단체 참여를 보장해 지역 실정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전남·전북·경남에 걸친 지리산권 지자체들의 합의를 통한 단일 노선 원칙은 비현실적 전제라며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이 장기간 표류한 이유는 국립공원 삭도 설치 기본방침에 따라 지자체 간 자율 조정만을 요구한 결과다"며 "각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다양한 노선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추진위는 "지리산 케이블카는 1963년 지리산 개발계획 수립 때부터 지역 발전 전략으로 검토됐다"며 "환경부의 현 기조는 15년 전 수립된 정책을 기반으로 해 변화된 관광 수요와 지역 균형 발전, 교통 약자 접근성 등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순호 구례군수도 기자회견에 참석해 "케이블카 사업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를 타파하고 교통 약자 편의를 확보하는 지역 회복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피력했다.

    또 김 군수는 "지자체 간 합의를 전제로 한 단일 노선 방식은 현실과 괴리가 크다"며 "각 지역 여건과 자동차 이용 감소로 인한 생태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해 다양한 방식을 열어두고 지자체가 논의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리산을 둘러싼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경남 산청·함양군은 1990년대부터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했으나 번번이 무산됐다.

    환경부는 2012년 국립공원계획 변경 요구를 공익성·환경성 등을 이유로 반려했고 지역을 단일화해 재신청하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산청군과 함양군은 경남도의 중재로 지리산에 케이블카 단일 노선을 설치하는 방안을, 구례군은 산동면 온천관광단지부터 성삼재 주차장(3.65㎞)까지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방안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