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충북도청서 양 광역단체 바이오특화단지 유치 위한 초광역 상생협약협약서에 오가노이드분야 과제 기획 발굴 등 양 지역 인프라 공동 활용 담아김관영 도지사, “산자부가 추진하는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
  • ▲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시사(사진 오른쪽)와 김영환 충남지사(사진 왼쪽)는 30일 충청북도청 회의실에서 ‘바이오 분야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초광역 협력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전북특별자치도 서진 제공.
    ▲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시사(사진 오른쪽)와 김영환 충남지사(사진 왼쪽)는 30일 충청북도청 회의실에서 ‘바이오 분야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초광역 협력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전북특별자치도 서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도지사 김관영)와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가 산업부에서 공모 중인 바이오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손을 잡고 초광역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이번 양 광역단체 간 협약은 경쟁구도에서 상생협력 관계로 나아가 지역이 가진 강점과 약점을 상호 보완하는 등 첨단 산업인 바이오 분야에 대한 기술 우위 선점에 나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전북도는 30일 충북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전북지사와 김영환 충북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 분야 국가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초광역 협력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하고 합동 TF 구성, 운영 등 향후 양 도 간 공동 협력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생협약은 바이오특화단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동 대응과 오가노이드 초격차 연구개발 관련 공동 과제 기획·발굴, 양 지역의 바이오 소재·장비·인력양성 인프라 공동 활용 등 바이오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양 기관이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충북은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이 소재한 지역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 및 바이오 소부장특화단지 등 바이오 클러스터가 조성돼 바이오 산업의 핵심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전북은 그린바이오 기반이 탄탄해 바이오 소재 DB와 비임상분야 연구기관, 상급병원 2곳이 위치해 향후 레드바이오로 확장 가능성이 매우 큰 지역이다.

    전북도와 충북도는 바이오 초광역 협의체 구성 및 협력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한 TF를 운영하는 등 정기적인 네트워크 활동을 추진하며 정부의 첨단 바이오 육성정책을 실현할 수 있도록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향후 양 지역의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보완할 수 있게 되며 정부에서 바이오특화단지를 공동 지정하는 경우 국가 차원의 바이오 산업 시너지 또한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의약품과 오가노이드 2개 분야로 나누어 공모 중인 산업부의 바이오특화단지는 전북과 충북을 비롯해 강원·인천·대전·전남·경북·경기 등 총 11개 지자체가 신청했으며 올 상반기 중 최종 선정을 앞두고 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과 충북은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보고 바이오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해왔다”며 “오늘 협약을 계기로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한마음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첨단 기술 육성과 제조 역량 확보로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는 특화단지 조성에 협력관계를 맺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오늘 협약이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