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2개 지자체 및 기관’과 사례 공유... 현장 방문도 ‘꾸준’복지부 ‘지역복지사업 평가’서 ‘의료돌봄 통합지원 분야’ 대상 수상
  • ▲ 정은경 복지부 장관 북구청 방문ⓒ광주시 북구청 제공
    ▲ 정은경 복지부 장관 북구청 방문ⓒ광주시 북구청 제공
    광주 북구의 통합돌봄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관심이 전국에서 이어지고 있다.

    26일 광주 북구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22개 지자체 및 기관(서울 노원, 경기 이천, 부산 영도·사상, 전남 목포·나주·강진·영암, 전북 정읍·남원, 보건복지인재원,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등)에서 광주 북구의 통합돌봄사업 현장을 방문하거나 구체적인 운영 방안 및 성과를 공유받았다.

    광주 북구가 통합돌봄사업 선진지로 꼽히는 이유는 2024년 보건복지부 주관 ‘지역복지사업 평가’에서 ‘의료돌봄 통합지원’ 분야 ‘대상’을 수상했을 만큼 전국적인 모범 사례로 인정받기 때문이다.

    광주 북구의 ‘통합돌봄사업’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중심이 돼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3월 관련 법률이 제정된 이후 오는 2026년 3월 전국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 사업은 이재명정부의 국정과제에도 포함된 복지분야 역점사업인 만큼 앞으로 사업의 규모나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광주 북구는 관련 법률이 제정되기 3년 전인 2021년 ‘통합돌봄팀’을 신설하고 유관 기관과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등 사업 추진을 위한 선제적 움직임을 시작했고, 2023년 3월에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올해까지 3년간 총 27억 원 규모의 통합돌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광주 북구가 통합돌봄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지난 6일 정은경 보건복지부장관이 오치복합커뮤니티센터(광주 북구 서하로194번길 6)를 방문해 ‘북구 돌봄 통합지원 실행 현장 간담회’를 갖고 구체적인 사업 추진 사항을 보고받는 등 정부에서도 광주 북구를 통합돌봄의 선도 지자체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올해 광주 북구는 ‘함께 누리는 행복한 삶, 돌봄 선도도시 광주 북구’라는 비전 아래 △보건의료 △장기 요양 △생활 지원 △주거 지원 △지역특화돌봄 등 5개 분야 총 37개의 생활밀착형 의료·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에 대한 의료돌봄 매니저 활용, 지역대학과 협업을 통한 관·학 협력 돌봄체계 구축, 장애인 돌봄 확대 등이 핵심 사항으로 추진되고 있다.

    향후 광주 북구는 전국으로 확대될 내년도 돌봄사업에 대비해 적극적인 주민 홍보와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체계 완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한편, 광주 북구는 오는 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주치의제 시범 운영에 나서는 등 돌봄체계 강화를 통한 기본사회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문인 광주 북구청장은 “통합돌봄사업은 주민들이 일상을 영위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분야별 돌봄서비스를 지원해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 촘촘한 협조체계를 기반으로 전방위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해 돌봄 사각지대 없는 북구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부산 영도구 북구청 방문ⓒ광주시 북구청 제공
    ▲ 부산 영도구 북구청 방문ⓒ광주시 북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