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의 미온적 대응 질타
-
- ▲ 전경선 전남도의원이 지난 21일 열린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전남 국립의대 설립에 대해 전남도의 미온적인 대응을 지적하고 있다.ⓒ전남도의회 제공
전경선 전라남도의회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5)은 지난 21일 열린 전남도의회 제392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전남 국립의대 설립은 “도민의 생명과 전남의 미래가 직결된 35년 숙원사업”이라며 전남도의 미온적 대응을 질타했다.전 의원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학술지 자료를 인용해 “전남 목포권(목포시·신안군)의 임산부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34.08명으로 전국 평균의 3배를 넘는다”며 이는 단순한 수치가 아닌 “도민의 생명권이 직접적으로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라고 지적했다.이어 전 의원은 “응급의료 접근성이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는 현실은 청년인구 유출과 저출생 문제로 이어져 결국 전남의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전남 국립의대 설립은 목포를 비롯한 서남권 주민들의 ‘우리도 살자’는 절박한 외침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한 전 의원은 “1990년부터 이어진 시민운동, 서명운동, 목포대 의대 신설 신청, 상공회의소 건의 등 지역사회의 지속적 노력이 있었다”고 상기하며, 이는 서남권 주민들의 35년간의 간절한 염원임을 언급했다.또한 전 의원은 전남도가 국립의대 유치 경쟁을 ‘갈등’으로 표현하는 것도 강하게 비판했다.전 의원은 “전남 국립의대 설립이 지역 간 갈등으로 비친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실제로는 동부권·서부권의 유치경쟁이었을 뿐이며, 이를 행정이 제대로 조율하지 못한 책임이 크다”고 질책했다.특히 전 의원은 “도민들이 바라는 것은 대학 통합이 아니라 의료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전남지역에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이 설치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10억 원을 들인 용역 결과는 이미 통합의대 결정을 전제로 한 결론을 보여줬을 뿐”이라고 꼬집었다.전 의원은 “타운홀 미팅에서 많은 도민이 국립의대 설립을 요구했지만 발언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며 “의제로 다루지 못한 이유를 ‘기회가 없었다’고 말하기에는 전남도의 행정적 대비와 정치적 민감성이 부족했다”고 직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