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음극재 전문기업 ㈜에이원신소재 2025년부터 음극재 생산이차전지 음극재 기업 집적화 본격 시동…현 정부들어 8조 투자유치
  • ▲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와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강임준 군산시장, 웨민 중국 탄이신에너지그룹 동사장, 한상영 ㈜에이원신소재 대표이사 등은 23일 오전 11시 새만금개발청 회의실에서 ㈜에이원신소재와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전북도 사진 제공.
    ▲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와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강임준 군산시장, 웨민 중국 탄이신에너지그룹 동사장, 한상영 ㈜에이원신소재 대표이사 등은 23일 오전 11시 새만금개발청 회의실에서 ㈜에이원신소재와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전북도 사진 제공.
    이차전지 음극재 생산 전문기업인  ㈜에이원신소재가 새만금국가산단에 3천억원을 투자키로 하는 등 새만금국가산단에 이차전지 음극재 기업 집적화에 탄력을 받고 있다.

    전라북도와 새만금개발청,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는 23일 오전 11시 새만금개발청 회의실에서 ㈜에이원신소재와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와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강임준 군산시장, 웨민 중국 탄이신에너지그룹 동사장, 한상영 ㈜에이원신소재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이차전지 음극재의 안정적 공급은 물론 도내 이차전지 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기대한다”며 “전북도 차원에서 에이원신소재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이제 새만금에 음극재 기업의 투자도 본격화 되고 있다”라며, “새만금개발청은 이차전지 밸류체인 형성과 기업 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양호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에이원신소재 한상영 대표이사는 “새만금 국가산단에서 글로벌 음극재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 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새만금 국가산단에 투자를 결정한 ㈜에이원신소재는 이차전지 음극재 연구·제조 전문기업인 중국 탄이신에너지그룹의 기술을 도입하여 설립한 한국법인이다.

    (주)이원신소재는 올해 말 새만금산단 5공구에 착공해 2025년부터 연간 250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10만톤 규모의 음극재(천연흑연·인조흑연)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차전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음극재는 국내 이차전지 소재산업 중 가장 취약한 분야였으나, 이번 투자로 국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글로벌(세계)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에이원신소재는 해외에서 1차 가공된 원재료를 수입하여 탄이신에너지그룹이 독자 개발한 물리적 순화기술을 적용한 고성능·저비용·친환경 음극재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투자규모는 3천억원, 신규고용인원은 250여 명이며 2025년 제품생산 및 공급을 위해 투자협약과 동시에 입주계약을 체결하고 즉시 착공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새만금산단은 이번 투자유치로 현 정부 출범 이후 투자유치 누적액 8조원을 돌파하며 투자유치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