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양시, 포항시, 당진시 긴급 영상회의모습이다 ⓒ 광양시
    ▲ 광양시, 포항시, 당진시 긴급 영상회의모습이다 ⓒ 광양시
    '철강산업 위기'에 직면한 광양시, 포항시, 당진시는 전날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 철강 관세 정책 변화와 중국 저가 철강 공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0일(현지 시간) 발표한 철강·알루미늄 수입 물량에 대한 25% 보편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소집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1기 때 적용했던 쿼터제 예외를 폐기하고 모든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산업과 철강업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경제가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인화 광양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오성환 당진시장은 철강업이 지역 경제 핵심 산업인 만큼 공동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며, 철강 보편관세 부과가 국내 철강산업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범정부 차원 지원 요청 △국내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건의 △공동건의문 채택을 통한 협력 체계 구축이 주요 의제로 다뤘다.

    회의 결과 3개 도시 시장은 '대 여·야·정 공동건의문'을 채택에 합의했다. 

    주요 내용은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미 대응 전략 마련 △철강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긴급 금융지원과 세제 혜택 제공 △초격차 기술개발 등 장기적인 지원 방안 마련 △3개 도시 철강산업단지의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과 추가경정예산 편성 촉구 등이다. 

    자치단체 간 공동 대응 및 지속적인 협력도 이어가기로 했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철강산업은 우리 지역 경제 핵심 기반으로 이번 관세 정책 변화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 대응할 것이다"며 "포항시, 당진시와 함께 정부 지원을 요청하고 강력한 공동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 시장은 3개 도시 단체장과 지역 국회의원이 함께하는 국회 토론회 개최를 제안했다. 

    국회 차원 논의를 통해 정부와 정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철강산업 보호 대책을 마련하도록 요구하자는 취지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오성환 당진시장도 공감을 표하며 공동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광양시, 포항시, 당진시는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철강업계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