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9명 포상도…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사업 결실
-
- ▲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_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가 인사말을 하고있다.ⓒ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와 광복회 전남도지부(지부장 송인정)는 17일 전남도청에서 ‘제86회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순국선열의 희생과 독립정신을 기렸다.기념식은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 김남용 전남서부보훈지청장, 보훈단체장, 광복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한민국 빛낼 이 너와 나로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됐다.한편, 올해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전남 출신 9명이 새롭게 독립유공자로 포상됐다.포상은 애국장 염연백(보성), 애족장 소진호(진도)·정인수(목포), 대통령표창 서봉규(목포)·하헌정(영암)·신태금(영암)·유영곤(영암)·최판수(영암)·최찬오(영암) 등이며, 이중 6명(소진호·정인수·서봉규·신태금·최판수·최찬오)은 전남도가 전국 광역시·도 최초로 추진한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및 서훈 신청’사업을 통해 발굴한 인물이다.이날 고 신태금 님의 외손녀 최유임 님에게 독립유공자 포상이 전수됐다.신태금 님은 1932년 6월 영암 덕진면에서 청년 70여 명과 함께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에 맞선 소작쟁의를 주도하다 체포·투옥되는 등 항일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받았다.국가보훈부 중앙기념식에서 1명에게 포상이 전수됐으며, 나머지 4명은 유족 주소지를 기준으로 각 지자체에서 전수식이 진행됐다.유족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3명은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사업 등을 통해 후손이 확인되는 대로 전수될 예정이다.강위원 전남 부지사는 기념사에서 “행동이 없는 추모는 기억을 가난하게 만든다”며 “선열의 목숨으로 증명한 그 정신을 더 깊이 새기고 전남도가 더 굳건히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한편, 전남도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총 3억6900만 원을 투입해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및 서훈 신청’사업을 단계으로 추진했다.그 결과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0여 명을 발굴하고, 이중 1100여 명에 대한 서훈을 신청했으며, 현재까지 38명이 서훈을 확정받는 성과를 거뒀다. -
- ▲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_단체사진ⓒ전라남도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