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 후 3대째 임업경영… 임산물가공품 개발 앞장초기 정착 어려움 가공 차별화, 지역 협력 등으로 극복
-
- ▲ 임업인- 문준호 임업후계자ⓒ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8월 '이달의 임업인'으로 구례 토지면에서 두릅·고사리·음나무·초피 등 다양한 임산물을 재배하고 가공품까지 생산하는 청년임업인 문준호 임업후계자를 선정했다.문 임업후계자는 3대째 이어진 가업을 잇고자 고향인 구례 지리산 피아골 자락 원기마을로 귀촌해 임업경영체 ‘지리담’을 운영한다.초기에는 농산물·임산물 관련 제조회사에서 근무하며 지리담 운영과 겸업하다 계절별 다양한 임산물 생산과 가공을 목표로 4㏊ 면적에 봄철 두릅·고사리, 여름철 초피, 가을철 꾸지뽕, 겨울철 고로쇠 수액 등을 생산해 연간 약 1억 원의 매출을 창출하는 전문 임업인으로 성장했다.문 후계자는 정착 과정에서 초기 자금 마련, 임산물 인지도 부족, 안정적인 판로 확보 등 어려움을 △지리산 피아골의 청정임산물 재배와 웰니스 상품 개발 △구례 청년임업인들과 젤라또·양갱 생산 △두릅 분말과 비트 분말을 넣은 ‘두릅 더비트’와 꾸지뽕 콜라겐 젤리스틱 ‘하루 한뽕’ 개발 △온라인 플랫폼 적극 활용과 지역 판매장 입점 등으로 극복했다.그 결과 문 후계자는 안정적 소득 창출과 지리산 대표 청년임업인으로 정착했다.특히 첫 임산물 가공품인 ‘두릅 더비트(드랍더빗)’ ‘하루 한뽕’은 자체 개발로 선행 제조 물량을 완판하는 등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이처럼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동이 지역사회에서 인정받아 문 후계자는 ㈔한국전문임업인협회 구례군협의회장으로 선출돼 청년임업인의 리더로 인정받고 있다.문 후계자는 “앞으로도 지역 청년임업인과 힘을 모아 시장 수요와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임산물 가공상품을 확대생산할 계획”이라며 “청년과 기성세대 간 서로 존중하고 소통하는 임업인협회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전남도는 임업인의 자립 기반 조성을 위해 임산물 재배 기반과 생산 장비 보완, 임산물 가공·유통시설 지원 등 올해 200억 원의 산림소득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김정섭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전남도의 우수한 임산물을 적극 홍보하고 앞으로도 청년임업인과 귀촌 지원 확대를 통해 임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
- ▲ 임업인- 문준호 임업후계자ⓒ전라남도 제공